3D 개조/제작

3D프린터로 제작된 다양한 보조기기를 만나보세요.

3D 보조기기 조회

도면이미지
도면이미지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 핸드 컨트롤러
3D 도면 편집 3D 도면 편집을 통해 원하는 사이즈의 3D 도면을 다운로드 받으세요.
도면이 2개 이상인 경우 우측 편집하기 버튼을 눌러 원하는 도면을 선택한 뒤 상단의 스케일 조정 버튼을 누르면 도면이 변경됩니다.

확대/축소: 마우스 스크롤
회전: 좌측 드래그
위치 이동: 우측 드래그
도면을 처음 위치로 되돌리고 싶은 경우 상단의 “스케일 조정“ 버튼을 눌러주세요.

원하는 치수 입력 후 “스케일 조정“ 버튼을 눌러주세요.

너비
mm
높이
mm
mm
3D 보조기기 정보
카테고리 이동 저작권 저작권 표시-비영리(CC BY-NC)
사용 재료 PLA 내부 밀도 30%
보조기기 크기 출력 시간
설계 프로그램 inventor 3D 프린터 FlashForge Guider 2
영상 URL https://www.youtube.com/watch?v=gIAGa8Tj88E 변경 보조기기
보조기기 기능 및 사용방법

▪ 3D 보조기기 정보

1. 기기 개발 이유 및 사용 목적을 자세히 적어주세요.

 

1) 기기 개발 이유 

 

 - 신체적 장애로 보조기기가 필요한 잠재적 사용자 수요 확인

   2020년 보건복지부에서 시행한 장애인 실태 조사 결과, 2020년 등록 장애인은 약 260만 명이며, 그 중 지체 장애인과 뇌병변 환자들이 약 50%를 차지함.

 

 - 장애인 외출 빈도 감소 현상에 이동성 제약이 원인임을 확인

  외출 빈도 조사 결과 ‘거의 매일’ 항목은 큰 폭으로 감소, ‘전혀 외출하지 않음’이 큰 폭으로 증가함을 확인. 그 원인으로는 코로나 19로 인한 여파도 있었지만,

 교통수단 이용 시 어려움을 겪음이 39.8%로 높은 비율을 차지함. 교통수단 이용이 어려운 이유로는 “버스, 택시가 불편해서”, “편의시설, 교통수단 부족”, 

 “자동차 개조의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  교통수단 이용 시 어려움을 겪는 비율이 높은 현상의 대안으로 단기간에 사용자의 이동 여건을 개선할 수 있는 

 자동차 보조기기를 개발하기로 함.

 

 - 하지 지체장애 운전자를 위한 보조 기기인 ‘탈부착이 가능한 양손 핸드 컨트롤러’ 개발로, 기존 핸드 컨트롤러의 문제점을 보완함.

 

2) 기기 사용 목적 

 

 - 두 발이 불편한 사람이 운전 시 양손으로 가속과 감속을 가능하게 하여 원활한 사회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기존 핸드 컨트롤러의 한 손 운전 방식이 아닌 양손 운전을 가능하게 하여, 주행 안정성을 높인다.

 

3) 기존 핸드 컨트롤러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문제점

해결방안

  • 1
  • 기기의 전자 제어 장치로 설치 시 차량 개조가 필요하여 경제적 부담으로 이어짐
  • 전자 제어, 유압 등을 사용하지 않고 물리적인 힘으로 구동 방식을 설계하여 원가를 절감 
  • 2
  • 기기 설치가 복잡하고 설치 가능 공업소 부족
  • 일반인이 직접 탈부착이 가능하고 쉬운 결합 방법으로 설계하여 공업소 부족 문제 및 타인과의 차량 공유 문제 해결
  • 3
  • 기기 탈착 필요 시 공업소 방문이 필요하여 비장애인 타인과 차량 공유가 어려움
  • 4
  • 양손 운전이 불가능하여 돌발 상황 대처가 어려움
  • 한 손으로는 스티어링 휠(핸들)을, 한 손으로는 핸드 컨트롤러를 잡아야 해서 한 손 운전의 위험성 보완 시급
  • 운전 시 두 손으로 핸들을 잡으면서 가속과 감속이 가능하게 설계하여 운전의 안정성을 높이고, 돌발 상황 시 유연한 대처 및 주행 안정성 증가
  • 5
  • 국산 핸드 컨트롤러 제품이 전무하며 일본 제품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 국내 수급 가능한 방식으로 제작하여 국산 제품 공급
  • 6
  • 무릎 에어백 공간에 설치하여 사고 발생 시 무릎 에어백 사용 불가능
  • 충돌사고 시 컨트롤러가 자동적으로 분해되도록 설계하여 무릎 에어백이 사용 가능

2. 사용 방법을 자세히 적어주세요.

 

 - 핸드 컨트롤러 손잡이와 스티어링 휠을 함께 잡는다. 

 

 - 네 손가락(엄지 제외한 손가락)으로 엑셀, 브레이크에 해당하는 손잡이를 운전자 방향으로 당긴다. 

 

 - 지렛대 원리로 엑셀과 브레이크를 눌러 가/감속 하며 주행한다.  

 

3. 기타사항(사용경험, 적용사례, 발전방안 등)

 

1) 설계 세부 내용

 

 - 전체적인 구조를 둥글기를 주어 사고 발생 시 사용자가 구조의 각짐으로 인해 다치는 등의 피해를 최소화되도록 설계

 

 - 기기에 볼 구조체를 사용하여 회전 시 핸들과 함께 컨트롤러 손잡이도 회전이 가능하게 설계

 

 - 컨트롤러 손잡이의 받침대의 길이를 실험을 통해 측정하고,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받침대의 길이를 증감시킬 수 있도록 설계

 

 - 운전자마다 앉은키나 팔 길이를 고려해 스티어링 휠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설계하여 유니버설 디자인 실현

 

 - 기기 중간 스프링을 부착하여 엑셀이나 브레이크를 밟은 후 원래 상태로 돌아올 수 있고, 스프링의 강한 장력을 통해 급발진, 급브레이크에 대비하도록 설계

 

 - 슬롯 형태의 구조로 설계하여 운전자가 컨트롤러 손잡이를 당기는 힘에 따라 엑셀, 브레이크 밟힘 정도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게 설계

 

 - PLA 소재(3D 프린팅 필라멘트 재료)를 사용하여 충돌 사고 시 쉽게 분리되어 무릎 에어백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

 

2) 기대효과

 

 - 두 발이 불편한 사람이 운전 시 두 손으로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한 사회 활동을 지원

 

 - 기존 핸드 컨트롤러의 한 손 운전 방식이 아닌 양손 운전을 가능하게 하여 주행 안정성을 높이고, 돌발 상황 시 핸들 제어에 도움

 

 - 전자 제어나 유압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원가 절감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 완화

 

 - 공업소 직원이 아닌 일반인이 직접 쉽게 기기를 탈부착 할 수 있어, 공업소를 방문하여 설치하는 부담이 줄고 비장애인 타인과 함께 자동차를 공유할 수 있음

 

 - 기존 컨트롤러는 무릎 에어백이 내장되어 있는 곳에 설치해 무릎 에어백의 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을 보완하여, 에어백 작동을 방해하지 않는 설계로 충돌 사고 시 무릎 에어백을 사용할 수 있음

 

3) 개선사항

 

 - 최대 출력 가능 길이가 28cm인 3D프린터를 사용하여 부품이 많이 발생하였지만, 출력 용량이 더 큰 3D 프린터로 단일 구조의 긴 구조체를 출력한다면 기기 설치 편의와 심미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 자동차 내부 모형을 고려하여 곡선으로 모델링하면 자동차 내부의 공간 차지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 3D 프린터 밀도를 고려하여 너비가 넓은 형태로 출력했지만, 너비를 줄여 자동차 내부의 공간 차지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 신청자 정보(양식에 맞게 입력)

 

성명

소속(해당자만 작성)

개인 신청자

 

 

팀원1(대표)

김민재

한성대학교

팀원2

심유경

명지대학교

팀원3

정호재

한성대학교

 

  • 댓글
  • 전문가 코멘트

댓글 0

댓글 0

이런 3D 보조기기는 어떠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