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개조/제작

3D프린터로 제작된 다양한 보조기기를 만나보세요.

3D 보조기기 조회

붙잡아줘 문고리야(문고리 안전바)
3D 도면 편집 3D 도면 편집을 통해 원하는 사이즈의 3D 도면을 다운로드 받으세요.
도면이 2개 이상인 경우 우측 편집하기 버튼을 눌러 원하는 도면을 선택한 뒤 상단의 스케일 조정 버튼을 누르면 도면이 변경됩니다.

확대/축소: 마우스 스크롤
회전: 좌측 드래그
위치 이동: 우측 드래그
도면을 처음 위치로 되돌리고 싶은 경우 상단의 “스케일 조정“ 버튼을 눌러주세요.

원하는 치수 입력 후 “스케일 조정“ 버튼을 눌러주세요.

너비
mm
높이
mm
mm
3D 보조기기 정보
카테고리 일상생활 저작권 사용안함(일반 개조/제작, 의류리폼 사례 해당)
사용 재료 PLA/TPU 내부 밀도 25%/40%
보조기기 크기 출력 시간
설계 프로그램 솔리드 웍스 3D 프린터 RIZE 7XC
영상 URL 변경 보조기기
보조기기 제작 과정 및 기능

▪ 3D 보조기기 정보

작품 명 “ 붙잡아줘 문고리야 ” 

[기획 의도] 

 근력이 부족해 홀로 거동이 어려운 장애인, 노약자에게 안전 바는 필수적이다. 

그러나 문을 여닫을 때 안전 바를 잡을 수 없어, 회전하는 문 고리에 의한 넘어짐 사고가 일어나는 모습을 보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안전 바의 역할을 하는 “문고리 안전바”를 기획하였다.

[목적]

 본래의 문 고리는 손으로 누르는 부분이 회전하면서 손이 미끄러지는 상황이 발생해 중심을 잡기 어려운 이용자들이 균형을 잃을 가능성이 있었던 것에 반해, 저희 팀이 개발한 장치는 문을 열 때, 직접 문 고리를 회전시키는 것이 아닌 단순 상하 작용하는 힘만 가하므로 손이 미끄러지는 상황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습니다.

 

 

문제점

구조적 해결 방안

1문 고리를 돌려주는 막대기는 문 고리의 어느 지점에 닿아야 하는가?

-문 고리의 안쪽에 닿았을 때

: 막대기의 수직 운동 거리는 짧아 버튼을 눌렀을 때 안정적이나, 문 고리를 회전하기 위해서 큰 돌림 힘이 필요함.

 

-문 고리의 끝 쪽에 닿았을 때

: 작은 돌림 힘으로 문 고리를 회전시킬 수 있으나 막대기의 수직 운동 거리가 길어, 버튼을 많이 눌러야 해서 불안정하다.

 

-결론: 돌림 힘, 버튼 움직임 안정성을 고려해 T자 모양의 막대기를 고안했다.

2장치의 고정은 어디에 하는가?-지지를 위한 장치이므로 안전성을 위해 문에 “풀림 방지 나사” 로 튼튼하게 고정하는 방식을 택했다.
3버튼의 형태는 어떻게 만들 것인가?-넓고 평평하나 모서리에 필렛을 주어 다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안전성을 위하여 고무 소재인 “TPU 필라멘트” 를 사용하여 미끄럼을 방지한다.
4문 고리와 닿는 막대기 부분이 미끄러지거나 정확한 지점을 못 누르고 미끄러지지 않을까?

-문 고리와 닿는 막대기 부분의 모양을 아치 형 모양으로 문 고리를 잡고 내려가, 흔들림과 미끄럼을 방지한다.

추가적으로 문 고리와 문 사이의 간격이 제품 별로 상이하기 때문에 아치를 넓게 만들어 어느 정도의 오차는 해결할 수 있게 만들었다.

5문을 여닫을 때, 버튼만 누르게 만들어진다면 여닫을 때 밀거나 당기는 것이 불편하지 않을까?-불편할 뿐만 아니라, 버튼만 있다면 잡을 곳이 없어 의지가 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문과 버튼 사이에 틈을 만들어 손가락을 걸 수 있게 만들었다.

※ 구동 원리(사용 방법)

 

사용자는 버튼과 문 사이에 있는 홈에 손가락을 걸고, 손바닥으로 버튼을 누르면

버튼의 상하 운동이 문고리에 전해져 문고리는 상하 작용에 의함 힘으로 돌아가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문을 여닫은 후 문고리 안에 있는 스프링에 의해 문고리가 올라오면서 

버튼을 밀어내 자연스럽게 버튼이 제자리로 돌아온다.

  

※ 재료

문 고리 받침 부분은 “PLA 필라멘트”를 택했고, 문 고리 버튼 부분은 “TPU 필라멘트”(고무의 탄성을 가진 플라스틱으로 휴대폰 케이스, 운동화 밑창, 축구공, 도마 등 다양한 용도로 쓰이는 재질이다.)를 택해 버튼을 눌렀을 때 손과의 마찰력을 크게 해 미끄러짐을 최소화하였다.

 

※ 가격 및 생산 시간

각 재료의 가격은 국내 인터넷 기준으로 PLA는 1kg당 15000원, TPU는 27000원이므로, g당 15원에서 27원 정도의 가격이지만, 도매가로 구매를 한다거나 대량 생산을 계획한다면 g당 최소 5원까지도 줄일 수 있다. (해외에 달러 단위로 도매가 판매 중임.)

 

 따라서 개인적으로 만든다고 가정하면 지지대 265.9g (265.9*15=3,853원) + 버튼 151.7g (151.7*27=4,096원) 도합 약 ‘8,000’원 정도 지출되고, 생산 소요 시간은 각각 20시간이므로 동시에 생산한다고 하면 약 20시간이면 만들어진다고 보면 된다.

 

 생산 기기 “RIZE 7XC” 에서 생산하면 무리 없이 생산 가능하다.

받침대​

버튼​

재료​

PLA​

TPU​

무게(g)​

265.9​

151.7​

가격(원)​

3,853

4,096

소요시간​

19시간44분​

20시간27분​

프린트기기​

RIZE​ 7XC

RIZE 7XC

※ 기여 효과와 상용 가능성

 

-기여 효과: 가정이나 요양원에서 일어나는 순간적인 사고를 막고, 더 나아가 상용화가 된다면 사회에서 일어나는 크고 작은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다.

 

-상용 가능성: 

나사 네 개만 박으면 된다는 설치의 간편함 (상품화 시켰을 시에 풀림 방지 나사 4개를 함께 packing한다.)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손잡이가 있는 문 고리에는 어디든 설치 가능하기 때문에 범용성도 좋다.

 

▪ 신청자 정보(양식에 맞게 입력)

 

성명

소속(해당자만 작성)

개인 신청자

 

 

팀원1(대표)

김소희

국민대학교

팀원2

김진성

국민대학교

팀원3

이상훈

국민대학교

 

  • 댓글
  • 전문가 코멘트

댓글 0

댓글 0

이런 3D 보조기기는 어떠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