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개조/제작

3D프린터로 제작된 다양한 보조기기를 만나보세요.

3D 보조기기 조회

촉각 점자 학습기
3D 도면 편집 3D 도면 편집을 통해 원하는 사이즈의 3D 도면을 다운로드 받으세요.
도면이 2개 이상인 경우 우측 편집하기 버튼을 눌러 원하는 도면을 선택한 뒤 상단의 스케일 조정 버튼을 누르면 도면이 변경됩니다.

확대/축소: 마우스 스크롤
회전: 좌측 드래그
위치 이동: 우측 드래그
도면을 처음 위치로 되돌리고 싶은 경우 상단의 “스케일 조정“ 버튼을 눌러주세요.

원하는 치수 입력 후 “스케일 조정“ 버튼을 눌러주세요.

너비
mm
높이
mm
mm
3D 보조기기 정보
카테고리 시각/청각 저작권 저작권 표시(CC BY)
사용 재료 PLA 내부 밀도 10%
보조기기 크기 출력 시간
설계 프로그램 solidworks 3D 프린터 메이커봇 Replicator 2
영상 URL 변경 보조기기
보조기기 기능 및 사용방법

▪ 3D 보조기기 정보

1. 기기 개발 이유 및 사용 목적을 자세히 적어주세요.

2008년,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한국 성인 남녀의 비문해율은 1.7%(약 62만 명)로 조사된다. 실제 60대의 비문해율은 6.0%, 70대는 20.2%에 달했지만 20~40대 중 글을 읽고 쓰지 못하는 사람은 0%인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반면, 국내 시각장애인은 약 30만 명으로 추산하지만, 전문교사의 부족 및 기존 1:1 학습법의 한계 등의 문제로 점자 문맹률은 약 95%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시중에 있는 점자 학습 도구는 청각과 시각에 의존한 경우가 많은데 이는 학습 중 다른 소리를 듣기가 어렵기 때문에 실외 혹은 공공장소에서 사용하기 어렵다는 점, 시각장애인이 시각에 의존하여 점자를 학습해야 한다는 점 등의 한계가 존재했다. 또한, 앱을 사용하는 경우 휴대폰은 평평한 화면을 터치해야 하므로 앱 내 버튼의 위치 등을 알지 못하는 경우 혼자서 사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한글 문맹률은 낮은 반면 점자 문맹률은 높은 것에 주목하여 촉각을 이용해 점자를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학습 도구의 필요성을 느껴 고안했다. 본 발명은 실외 혹은 공공장소와 같이 청각에 의존하기 쉽지 않을 경우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익숙한 한글과 점자를 함께 배치함으로써 새로운 점자 체계를 조금 더 수월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시각장애인 혼자서도 점자를 학습하고 점자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신체적 기능을 향상 및 보완하여 일상 활동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2. 사용 방법을 자세히 적어주세요.

본 발명은 한글 자음, 모음, 숫자를 촉각을 이용하여 학습할 수 있는 도구로서 가로로 자음, 모음, 숫자가 구분되며 자음은 초성과 종성으로 한 번 더 구분된다. 본 발명은 한글과 점자를 세로로 평행하게 배치하여 해당 글자가 점자로 무엇인지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각 글자와 점자는 하나의 칸으로 분리되어있고 글자 부분을 부직포 등의 소재를 활용해 어떤 글자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크기는 18cm X 11cm 정도이므로 들고 이동하는 데 불편함이 적고 실외에서도 꺼내어 학습할 수 있다. 

 추가로 해당 기기는 국토교통부의 ‘도로 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중 점자블록의 색상은 원칙적으로 황색으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노란색이 파장이 길고 주목도가 높아 눈에 잘 띄면서 편안한 색깔이므로 저시력인 사람 혹은 시야가 좁아져 일부만 보이는 사람들에게도 유용하도록 점자판을 구현하였다. 

 

3. 기타사항(사용경험, 적용사례, 발전방안 등)

- 사용 경험

 프린팅 기기의 프린팅 규격 제한을 고려하여 시범적으로 자음 기역과 점자의 프린팅만 진행했다. 프린팅 후 기역에 노란색 부직포를 덧붙여서 어떤 글자인지 더욱 명확하게 알 수 있었다. 본 기기를 5명이 눈을 감고 사용해보았을 때 모두 어떤 글자인지 촉각을 이용해 맞췄으며 처음 점자를 접하는 사람도 쉽게 어떤 부분이 돌출되었는지를 가늠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 발전방안

 본 기기는 한글의 자음, 모음, 숫자 학습용 기구이지만 외국어용, 약어용 등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초성의 ‘ㅇ’은 첫소리 자리에 쓰일 때 이를 표기하지 않는다‘, ’된소리 ‘ㄲ, ㄸ, ㅃ, ㅆ, ㅉ’를 쓸 때는 ‘ㄱ, ㄷ, ㅂ, ㅅ, ㅈ’ 앞에 된소리 표를 적는다.‘, 괄호 안에 적힌 약자 뒤에 모음 음적이 연이어 올 때는 ’ㅏ‘를 붙여야 한다.’, ‘’ㅅ, ㅈ, ㅊ, ㅆ, ㅉ‘ 다음에 약자 ’영‘이 올 때는 ’엉‘으로 바뀐다.’ 등 기본적인 점자 규칙의 경우 해당 기기 안에 음성 파일을 추가하여 스스로 학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발전시켜 설계할 수 있다. 추가로 해당 기기의 점자와 글자의 색인 노란색을 녹색, 적색, 청색 등 색을 달리하여 적색맹, 녹생맹 등의 사람들도 사용할 수 있도록 발전시킬 수 있다.

-시장 규모

 촉각 점자 학습기의 전체시장(TAM)은 국내 시각장애인이며 그 중 유효시장(SAM)은 점자 문맹인이고 수익시장(SOM)은 한글을 아는 점자 문맹인이다. 본 기기는 한글을 알고 있는 시각장애인이 여러 점자 학습 상황 중 점자에 익숙해지고 점자를 암기하고자 할 때 가장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기기 사용을 통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기본적인 점자의 모양을 타인의 도움 없이 학습할 수 있을 것이다.

 

▪ 신청자 정보(양식에 맞게 입력)

 

성명

소속(해당자만 작성)

개인 신청자

 

 

팀원1(대표)

반소희

이화여자대학교 휴먼기계바이오공학부

팀원2

황혜원

이화여자대학교 휴먼기계바이오공학부

팀원3

 

 

  • 댓글
  • 전문가 코멘트

댓글 0

댓글 0

이런 3D 보조기기는 어떠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