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개조/제작

3D프린터로 제작된 다양한 보조기기를 만나보세요.

3D 보조기기 조회

도면이미지

의사소통 장애를 가진 환자를 위한 의사소통 토큰, 팔찌
3D 도면 편집 3D 도면 편집을 통해 원하는 사이즈의 3D 도면을 다운로드 받으세요.
도면이 2개 이상인 경우 우측 편집하기 버튼을 눌러 원하는 도면을 선택한 뒤 상단의 스케일 조정 버튼을 누르면 도면이 변경됩니다.

확대/축소: 마우스 스크롤
회전: 좌측 드래그
위치 이동: 우측 드래그
도면을 처음 위치로 되돌리고 싶은 경우 상단의 “스케일 조정“ 버튼을 눌러주세요.

원하는 치수 입력 후 “스케일 조정“ 버튼을 눌러주세요.

너비
mm
높이
mm
mm
3D 보조기기 정보
카테고리 일상생활 저작권 저작권 표시-비영리(CC BY-NC)
사용 재료 PLA 내부 밀도 50%
보조기기 크기 출력 시간
설계 프로그램 Fusion360 3D 프린터 cubicon single plus
영상 URL 변경 보조기기 커뮤니케이션 브레이슬릿
보조기기 기능 및 사용방법

▪ 3D 보조기기 정보

1. 개선 또는 향상시킬 3D 보조기기를 선택한 배경 및 필요성을 자세히 적어주세요.

 

 발화의 어려움이 있는 환자분을 대상으로 ATRAC 3D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커뮤니케이션 보조도구를 적용해 보았다.

 

 환자분은 해당 도구의 편리함에 기뻐하셨지만 본인이 표현하고 싶은 내용이 다소 부족한 것에 아쉬움을 토로하셨다.

 

 따라서 근로복지공단 인천병원 메이커 그룹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ATRAC 3D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보조기기를 기반으로 커뮤니케이션 좀 더 발전시켜 보고자 하였다.

 

 우선 두가지 도구의 장점을 모두 차용하여 플레이트 형태로 토큰을 제작하고 이를 탄성이 있는 낚시줄로 엮어 브레이슬릿의 형태로 만드는 방향을 결정하였다.

 

 또한 환자와 치료사를 대상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18개의 단어(좋음, 싫음, 화남, 모름, 휠체어, 약, 휴지, 화장실, 식사, 음료, 손 씻기, 스마트폰, 충전기, 두통, 팔 아픔, 무릎 아픔, 엉덩이 아픔, 피곤함)  및 상황을 토큰과 하였으며 사회적 환경을 반영하여 6개의 코로나와 관련된 커뮤니케이션 토큰(거리두기, 마스크, 체온 측정, 손 소독, 발열, 인후통)을 추가하였다.

 

2. 개선점과 함께 Remake한 보조기기의 사용방법을 자세히 적어주세요.

 

 총 24개의 토큰은 그 각자의 커뮤니케이션 도구 및 훈련 도구로 사용 될 수 있으며 이를 엮어 팔찌의 형태로 만들고 일상생활에서 커뮤니케이션이 필요 할 때 활용 할 수 있다.

 

3. 기타사항(사용경험, 적용사례, 발전방안 등)을 자세히 적어주세요.

 

 사용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토큰을 계속 추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장소나 시기에 따라 원하는 형태로 토큰을 재구성하여 팔찌를 만들기에 용이 하다.

 

 근로복지공단 인천병원 메이커 그룹에서는 앞으로도 토큰을 계속 추가해 나갈 예정이다.

 

 토큰에 사용된 이미지는 모두 저작권이 공개되어 있거나 제작자가 직접 그린 그림이므로 사용에 전혀 제한이 없음을 알린다.

 

 

▪ 신청자 정보(양식에 맞게 입력)

 

성명

소속(해당자만 작성)

개인 신청자

 

 

팀원1(대표)

한솔

서울대병원

팀원2

전은혜

근로복지공단 인천병원

팀원3

강지은

근로복지공단 인천병원

  • 댓글
  • 전문가 코멘트

댓글 0

댓글 0

이런 3D 보조기기는 어떠세요?